기본 명령어
git add *.log
: 전체 로그 파일만 add하기git log
: 커밋 히스토리 확인(q로 나가기)git status
: 현재 파일 상태 확인- .gitignore: 깃허브에 추가하고 싶지 않은 파일을 이곳에 추가하면 git이 추적하지 않게 됨
-h
: 특정 명령어 뒤에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을 보여줌git diff
: work space(staging area에 add되지 않은 영역)에서 직전 버전과 파일 내용을 비교해줌git diff --staged
: staging area에 올라간 변경 내용을 시간순으로 비교해 출력
오픈 소스에 기여하는 법
- 깃허브에서 fork
git clone [fork된 내 원격 리포지토리 주소]
: 내 pc(로컬 리포지토리)에 복사git add [파일명]
: 변경사항 staging area에 반영git restore [파일명]
: 변경사항 폐기
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
: 깃 로컬 저장소에 변경사항 저장하기git reset HEAD^
: 깃 로컬 저장소에 커밋한 내용 취소하기(^의 숫자만큼 커밋 취소 가능. ex. HEAD^^^ -> 3개의 커밋 취소)
git push origin master/[브랜치명]
: 내 로컬 저장소에 커밋한 내용을 내 원격 저장소(깃허브 저장소)에 업로드- Pull Request 날리기: 깃허브에서 내가 fork 했던 원 레포지토리 권한 관리자에게 pull을 해달라고 요청하는 것
페어와 함께 작업하기
git init
: 현재 디렉토리에 깃 로컬 저장소 생성git remote add origin [내 원격 리포지토리 주소]
: 내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 연결git remote add [별칭] [연결할 원격 리포지토리 주소]
: 내 로컬 저장소와 페어의 원격 저장소 연결git remote -v
: 내 로컬 저장소와 연결된 전체 원격 저장소 확인
git pull [별칭] master/[브랜치명]
: 페어의 원격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내 로컬 저장소에 가져오기- 충돌(merge conflict) 발생 시 에디터에서 확인 후 직접 수정한다. (이때는 커밋 메시지가 자동으로 생성됨)
- 오픈 소스에 기여하는 법 3~5번 항목 진행
참고:
코드스테이츠 유어클래스
드림코딩 by 엘리 - 깃, 깃허브 제대로 배우기
'Git &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에 실수로 .env 파일을 올렸는데 중요한 정보가 있을 때 (0) | 2021.11.13 |
---|